어떤 값을 입력했는지에 따라 다르게 동작하는 문법인 switch문에 대해 알아봅시다. if문과 비슷하지만 동작하는 방식이 조금은 다른데 switch문의 기본 구조는 이렇게 생겼습니다. // switch문(switch statement) switch (비교할 값){ case 조건값_1: 동작부분; break; case 조건값_2: 동작부분; break; default: 동작부분; } 먼저 switch라는 키워드를 작성한 다음 소괄호를 열어 비교할 값을 작성해주고 그리고 중괄호를 열어줍니다. 그리고 case라는 키워드 다음에 조건값을 쓰고 콜론(:)을 입력해 줍니다. 그리고 비교할 값과 조건값이 서로 일치할 때 동작할 코드를 작성한 다음에 break라는 키워드를 입력해줍니다. break의 역할은 switch..
연관된 여러 값을 하나로 묶고 싶을 때 객체를 활용했던 것처럼 연관성이 있는 여러 함수들을 하나로 묶고 싶은 경우 객체를 사용하면 됩니다. // 메소드(Method) let greetings = { sayHello: function (name) { console.log(`Hello ${name}!`); } sayHi: function () { console.log('Hi'); } sayBye: function () { console.log('Bye'); } } // 점 표기법 greetings.sayHello('Codeit'); // 대괄호 표기법 greetings[sayHello]('Codeit'); 객체의 프로퍼티는 어떤 자료형이든 저장할 수가 있기 때문에 프로퍼티 값으로 함수를 넣어주면 됩니다. 이..
객체의 프로퍼티를 수정하는 방법은 해당 프로퍼티에 접근해서 새로운 값을 할당해 주면 됩니다. 마치 변수의 값을 재할당하는 모습과 같습니다. // 객체 (Object) let codeit = { name: '코드잇', bornYear: 2017, isVeryNice: true, worstCourse: null, bestCourse: { title: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래밍 기초', language: 'JavaScript' } }; console.log(codeit.name); // 코드잇 codeit.name = 'codeit'; console.log(codeit.name); // codeit codeit의 name이라는 프로퍼티에 영어로 'codeit'이라는 값을 할당해주고 이 코드를 실행해보면 처음에는..
// 객체 (Object) let codeit = { name: '코드잇', bornYear: 2017, isVeryNice: true, worstCourse: null, bestCourse: { title: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래밍 기초', language: 'JavaScript' } }; 객체도 결국은 값이기 때문에 일단 객체를 다루기 위해서는 먼저 변수에 할당해 주면서 이름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점 표기법(objectName.ProertyName); console.log(codeit.bornYear); // 2017 이 상태에서 객체의 프로퍼티에 접근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점 표기법'입니다. 객체 이름 다음에 마침표를 찍고 따옴표 없이 프로퍼티 네임을 입력하는 방식입니다...
if문은 영어로 if statement라고도 합니다. 그동안 작성했던 코드들은 작성한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실행되었는데 if문은 어떤 특별한 조건에 따라서 코드를 실행할지 말지 결정할 수 있는 문법입니다.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실행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JavaScript에서 if문은 문자 그대로 if라는 키워드를 사용하는데 기본 구조는 이렇습니다. // if문 (if statement) if(조건부분){ 동적부분 } if문은 이렇게 if라는 키워드를 쓰고 뒤에 소괄호를 열어서 조건 부분을 작성한 다음 중괄호를 또 열어서 동작 부분을 작성합니다. if는 만약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만약 조건 부분이 충족되면 동작 부분을 수행해라' 라는 의미로 이해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온도가 0도 이하면 콘솔..
객체는 영어로는 Object라고 합니다. 지금까지는 변수에 문자열 하나, 숫자 하나, 불린 하나 이런 식으로 값을 하나씩만 저장했는데 만약 여러 가지 값을 한 번에 저장하고 싶다면 객체라는 것을 사용하면 됩니다.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것이 다 객체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객체는 Javascript의 거의 모든 문법에 녹아있는 개념이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를 잘 다루려면 객체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객체를 만드는 방법 객체는 중괄호{}를 통해서 만들 수 있습니다. 이 중괄호 안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값들을 쉼표(,)로 구분해서 저장할 수 있습니다. 객체는 이렇게 다양한 값들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각 값들을 좀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콜론(;)과 함께 이 값의 이름을 붙여 줘야 합니다. 그래서 ..
상수는 영어로 constant라고 합니다. 변한다의 의미의 변수와는 반대로 절대 변하지 않고 항상 일정한 값을 상수라고 부릅니다. // 상수 (contant) const PI = 3.14; // 원주율 let radius = 0; // 반지름 // 원의 넓이를 계산하는 함수 function calculateArea(){ return PI * radius * radius; } // 반지름에 따른 원의 넓이를 출력하는 함수 function printArea(){ return `반지름이 ${radius}일 때, 원의 넓이는 ${calulateArea()}; } radius = 4; console.log(printArea()); // 반지름이 4일 때, 원의 넓이는 50.24 radius = 7; console..
- Total
- Today
- Yesterday
- 느슨한 타입(loosely typed)
- foreach
- EVERY
- 불변 객체
- 기본형 데이터
- 얕은복사
- redux middleware
- 비교 연산자
- redux-thunk
- find
- map
- 타입변환
- redux-middleware
- findindex
- 참조형 데이터
- 동적(dynamic) 언어
- null
- undefined
- filter
- redux
- redux thunk
- som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