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OAuth에는 OAuth에 등장하는 세 개의 주체가 있습니다.
우선 우리가 만든 서비스를 mine이라 부르고
사용자를 User, 그리고 이 User는 Their라는 서비스의 회원가입이 되어있는 상태여야 합니다.
이것을 OAuth에서는 Their를 우리가 제어하고자 하는 자원이라고 해서 Resource Server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자원의 소유자(User)를 Resource Owner(소비자)라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의 서비스를 Resource Server에 접속해서 정보를 가져가는 Client라고 부릅니다.
Resource Server, Resource Owner,Client 이렇게 3자간의 관계가 OAuth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OAuth의 공식 메뉴얼을 보면 Authorization Server라는 서버가 하나 더 있는데 Resource Server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서버이고 Authorization Server는 인증과 관련된 처리를 전담하는 서버입니다. 공식 메뉴얼에서는 저 두 가지를 구분해서 보여주지만 그냥 합쳐서 Resource Server라고 해서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프론트엔드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S가 뭐고 왜 쓰나요? (Feat. 대칭키 vs. 비대칭키) (0) | 2022.10.18 |
---|---|
[OAuth 2.0] 03. 등록 (1) | 2022.10.13 |
[OAuth 2.0] 01. OAuth란? (0) | 2022.10.12 |
TCP / IP (0) | 2022.09.17 |
SSR / CSR / SSG 와 TTV / TTI (0) | 2022.09.15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map
- 느슨한 타입(loosely typed)
- 불변 객체
- redux-thunk
- 비교 연산자
- 참조형 데이터
- null
- undefined
- redux
- 동적(dynamic) 언어
- findindex
- find
- EVERY
- 얕은복사
- filter
- 기본형 데이터
- redux-middleware
- some
- redux thunk
- redux middleware
- foreach
- 타입변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